본문 바로가기

전체 글37

📚 C 제어문 제어문 : 조건 지정에 따라서 진행 순서 변경 while문 while ( number 조건이 거짓이면 한번도 수행하지 않는다. do while문 do /* 일단 수행 */ while ( 조건 ) { /* ture */ } /* false */ 실행 순서 - { } 먼저 수행 - 조건 판단 - ture인 경우 { } 수행 - false인 경우 { } 빠져나옴 => 조건이 거짓이라도 한번은 수행한다. break문 : while문과 같은 가장 가까운 루프를 벗어나는 명령어 while (ture or 1) { sum=sum+number; number++; if(number>10)break; } printf("\n1+2+...+10=%d\n", sum) goto문 : 프로그램 실행 중 현재 위치에서 원하는 다른 .. 2023. 5. 2.
📚 C 입력 함수, 출력 함수( printf, scanf ) 출력함수 : printf() /* [형식] printf(서식문자열, 변수); */ printf('\n1+2+...+10=%d\n",sum); - 서식 문자열 : 변수 유형에 맞는 서식 문자열 입력, 서식 문자열에 제어문자를 넣어 출력물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. - 변수 : 서식 문자열의 순서에 맞게 출력할 변수를 입력 * 서식문자 : C언어의 데이터 형식을 규정 %o 8진수 정수 %d 10진수 정수 %x 16진수 정수 %c 문자 %s 문자열 printf('\n1+2+...+10=%d\n",sum);/* 1+2+...+10=55 */ printf('\n1+2+...+10=%o\n",sum);/* 1+2+...+10=67 */ printf('\n1+2+...+10=%x\n",sum);/* 1+2+...+1.. 2023. 4. 28.
📚 데이터 타입과 변수 1. 데이터 타입 데이터 타입은 변수에 저장될 데이터의 형식을 나타냅니다. 변수에 값을 저장하기 전에 문자형, 정수형, 실수형 등 어떤 형식의 값을 저장할지 데이터 타입을 지정하여 변수를 선언해야 합니다. 데이터 타입 C/C++ (크기) Java (크기) Python (크기) short 2바이트 2바이트 - int 4바이트 4바이트 제한없음 long 4바이트 8바이트 - long long 8바이트 - - unsigned short 2바이트 - - unsigned int 4바이트 - - unsigned long 4바이트 - - float 4바이트 4바이트 8바이트 double 8바이트 8바이트 - long double 8바이트 - - char 1바이트 2바이트 제한없음 unsigned char 1바이트 -.. 2023. 4. 27.
📚 프로그래밍 언어 개념, 정보표현단위 소프트웨어의 개발 5단계 요구사항 분석 - 설계 - 구현 - 테스트 - 유지보수 정의 컴퓨터에게 문제해결 방법과 절차를 지시하는데, 이때 지시하는 명령어의 집합을 프로그램이라고 함. 작성하는 과정을 프로그래밍이라고 함 컴퓨터가 이해하는 언어는 2진수 0,1이며 컴퓨터중심의 저급언어인 기계어라고도 함 반대로 사용자 중심의 고급언어가 있음 (ex. C, JAVA 등) 저급언어는 컴퓨터가 바로 처리 가능하지만, 고급언어는 컴파일과정을 거쳐야만 컴퓨터가 처리를 할 수 있게 됨 Bit : 0,1로 되어있는 정보의 최소단위임. 정보표현개수 1Bit : 2¹ ( 2개 ) 1Byte : 2⁸ ( 256개 / 8비트당 1바이트 / 0~255까지의 값을 가짐) 1KB : 2¹⁰ ( 1024개 ) --- 이하로 1024배씩.. 2023. 4. 18.